※ 주관기관 또는 참여기관 자격으로 최대 1개 분야(과제)에 지원 가능하므로, 신청을 희망하는 연구자꼐서는 신청 준비에 앞서 산학협력단 담당자에게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.
1. 사업 개요
□ 지원 목적
ㅇ 디지털 전환의 핵심 자원이자 AI서비스 경쟁력 제고의 관건이 되는 초거대AI 데이터 구축·개방을 통해 AI 생태계 조성 및 일상화 실현
⇨ AI 산업에서 주도권을 가질 수 있도록 우리나라가 강점이 있는 분야를 중심으로 전문·특화 영역을 선점 및 저비용·고효율 성능 고도화에 필요한 버티컬 AI 데이터 구축 추진
2. 지원 주요 내용
□ 공고 및 접수 기간 : ’25. 5. 9(금)∼ 6. 10(화)
※ 컨소시엄 구성 등 일부 일정이 상이하므로 25페이지 필히 참조
□ 지원 기간 : 협약일로부터 ~ ’25. 12. 31.
□ 지원 대상 : 기업, 대학, 공공기관, 정부·지자체, 협회, 개인사업자 등
□ 지원 규모 : 총 4,400백만원 (2차 : 8종 데이터)
ㅇ (지원규모) 정부지원금 550백만원∼1,100백만원 수준(과제목록 6페이지 참조)
※ 정부 지원금은 과제조정위원회 심의‧조정에 따라 일부 조정될 수 있음
※ 자유공모과제 2종은 품질인증비용 5백만원 추가 책정하여 신청
ㅇ (지정/자유 공모) 6개 분야(8종 데이터) / 7개 수행기관 선정․지원
※ 2025년도 예산 상황 변화에 따라 선정 규모 및 평가 일정 등은 변경될 수 있음
□ 지원 조건
ㅇ 초거대AI 데이터 구축 역량을 갖춘 2개 이상(수요기관 제외)의 기업ㆍ기관이 컨소시엄 형태로 수행기관 구성 필수
※ 초거대AI 학습에 필요한 다량의 비라벨링 데이터 중심으로 구축하되, 미세조정에 필요한 라벨링 데이터를 추가하는 형태로 추진
ㅇ 주관기관 또는 참여기관 자격으로 최대 1개 분야(과제)에 지원 가능(주관기관 또는 참여기관으로 중복지원 불가)
※ 1개 기업‧기관은 최대 1개 분야에 지원 가능함. 예시) 주관기관 또는 참여기관 자격으로 1개까지 지원 가능
※ 동일 기관이 동일 분야(예: 1. 해외 지식·문화 데이터)에 주관기관이나 참여기관으로 지원 후 다른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주관기관 또는 참여기관으로 재차 지원 불가
※ 주관기관 또는 참여기관 자격으로 다수 분야에 참여 시 참여 한도인 총 1개 분야 접수 완료 기준 순으로 인정하며,
그 이후 접수된 지원은 모두 불인정(제안서 접수시스템의 최종 제안서 제출 송신시간 기준)
※ 수요기관은 동일 분야에 중복하여 참여 가능(수요기관 참여확인서 필수 제출)
※ (주의) 2025년 초거대AI 확산 생태계 조성사업 1차 공모에 신청한 제안서를 2차 공모에 재신청할 수 없음
3. 지원 과제 목록
◆ 지정/자유 공모 6개 분야(8종 데이터) 세부적인 요구사항은 공고문 ‘붙임’ 확인
4. 제안서 접수 일정 및 방법
□ 접수 절차 : 컨소시엄 구성 > 제안서 접수
□ 접수 기간 : 2025.05.09(금)~6.10(화)
★ - 컨소시엄 구성 : ~6.9(월) 18:00 시한
- 제안서 접수 : ~6.10(화) 10:00 시한
□ 접수방법
ㅇ 수행기관 구성 접수 : 디지털제안서 통합관리시스템(propose.nia.or.kr)
5. 문의처-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
ㅇ 사업 내용 및 예산, 접수시스템
- Helpdesk : 070-4119-8517, 070-4119-8518
- AI허브(www.aihub.or.kr) 게시판(고객지원>문의하기>25년 초거대AI 확산 생태계 사업 문의)을 통해 온라인 문의
ㅇ 공모 및 협약 : 053-230-1174, 1196 (재무관리팀)
ㅇ 평가 일정 : 053-230-1180 (재무관리팀)
6. 공고문 URL https://www.msit.go.kr/bbs/view.do?sCode=user&mId=311&mPid=121&pageIndex=&bbsSeqNo=100&nttSeqNo=3179473&searchOpt=ALL&searchTxt=